생물학적 기능의 감소 | 정신 심리적 원인 | 사회적 원인 |
---|---|---|
심장기능,폐기능,호흡량 | 느린 학습속도 | 노화에 대한 부정적 생각 |
근력,유산소 운동능력 | 보다 많은 반복이 필요 | 전문치료를 받을 기회 감소 |
심혈관 역동성,말초혈관저항 | 재활과정에 대한 기대감 감소 | 자신감 결여 |
관절기능,균형감각 등의 감소 | 회복에 대한 기대감 감소, 자신감 감소 | 경제적 어려움 |
생물학적 원인 | 정신 심리적 원인 | 사회적 원인 |
---|---|---|
여러 질병, 오랜 침상생활 | 인지기능 저하 | 만연되어 있는 선입견 |
운동부족,관절구축 | 우울증 | 적절한 치료시설의 부족 |
너무 많은 약물의 사용 | 동기 부족 | 교통 및 건물의 접근성 부족 |
총제적인 장기 기능 저하 | 비전형적 행동 | 치료비 보험지불의 제한 |
1.기능적 수준을 정확히 평가한다. |
2.재활에 필요한 자원 및 사용 가능한 자원들을 찾는다. |
3. 움직이지 않는 것을 피한다. |
4. 변화된 생리적 반응을 이해한다. |
5. 환자가 생각하는 목표와 참여 의지를 사정한다. |
6. 가족의 기대치를 사정한다 |
7. 섬망,치매,우울증을 감별한다 |
8. 질병에 대한 진단 자체가 아니라 질병의 관리 및 기능적 향상에 관점을 둔다. |
9. 습득해야 할 동작과 연관된 운동을 시키도록 한다. 운동프로그램은 단순화 한다 |
10. 사회화를 강조하고 자극한다. |
11. 약물 사용은 최소화 한다. |
12. 기능이 회복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인식한다. |
13. 환자가 다발성 결함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한다. |
14. 호전은 느리게 일어남을 알아야 한다. |